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문화산책] 민화(民畵)라는 낱말에 대해서

한국 민화(民畵)에 대한 인기가 미주에서도 높아지고 있다는 반가운 소식이다. 이른바 K-아트의 인기에 힘입어, 한국적 아름다움을 듬뿍 담은 민화에 대한 사랑도 커지는 것 같다. 민화를 지금 상승세를 타고 있는 미술 한류의 강력한 경쟁력으로 평가하는 전문가도 많다.   그런 인기의 영향으로, 민화 그리기를 배우는 사람도 늘어나고 있고, 의미 있는 전시회도 자주 열리고 있다. 샌디에이고 미술관의 한국 채색화 특별전, 데스칸소 가든의 한국의 화조도(花鳥圖) 전시에서 민화가 중심적 눈길을 끌었고, 지금 LA 한국문화원에서도 민화 전시회가 열리고 있다.     한국에서는 더 큰 인기라고 한다. “오늘날 민화 인구의 급증은 특이 사항이지 않을 수 없다. 전국에 산재한 수십만 명의 민화 인구는 채색화를 다시 주목하게 하는 원동력이 되었기 때문이다. 한국 문화계 일반에서 민화 붐처럼 활기를 띠고 있는 분야가 어디에 또 있을까. 세속 유행어로 인사동 대관화랑과 표구점, 그리고 미술재료상은 민화 인구가 먹여 살린다는 말까지 있을 정도다. 양적 팽창은 이제 질적 향상을 위해 심각하게 자성할 때이다.” -윤범모 ‘현대미술관장의 수첩’에서   민화가 인기인 까닭은 현세적 염원을 담은 그림의 내용과 생동감 넘치는 색채가 어우러진 조형적 매력 때문이다. 민화에 대한 사전의 설명은 이렇다.   ‘민화는 한 민족이나 개인이 전통적으로 이어온 생활 습속에 따라 제작한 대중적인 실용화이다. 일반적으로 민속에 얽힌 관습적인 그림이나 오랜 역사를 통하여 사회의 요구에 따라 같은 주제를 되풀이하여 그린 생활화를 말한다. 대체로 비전문가의 작품이지만 직업 화가가 그린 것도 있다.’   그런데, 지금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민화’라는 용어는 진지한 논쟁의 대상이다. 널리 알려진 대로 ‘민화’라는 용어와 개념을 맨 처음 사용한 사람은 일본인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다. 그는 민예(民藝)라는 용어도 만들었다. 야나기는 엄혹한 일제강점기 한국 미술의 아름다움에 반해 이를 높게 평가하고 찬양한 고마운 사람이라는 평가가 있기도 하지만, 사실은 한국미의 특징을 ‘비애의 미’로 규정하는 등 식민지 통치 정책에 동조한 인물이기도 하다.   이런 까닭에, 민화를 우리 민족의 미의식과 정감이 조형적으로 표현된 진정한 의미의 민족화로 보는 학자들은 민화라는 명칭에 강력하게 반대한다. 윤범모 전 한국현대미술관 관장은 이렇게 주장한다.   “이제 우리는 야나기의 민화론을 극복해야 한다. 단언하건대, 한국 민화가 살려면 야나기를 처리해야 새로운 활로가 생길 것이다.”   민화라는 용어를 쫓아내고, 꼭 알맞은 낱말을 찾아내 사용하자는 주장은 오래전부터 꾸준히 있었다. 그동안 겨레그림, 채색 길상화, 한화(韓畵), 민족화 등 많은 제안이 나왔다. 하지만, 아직도 여전히 ‘민화’라는 낱말이 공식용어처럼 쓰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일제로부터 광복된 지 80년 세월이 지나도록 정신적으로는 일제의 잔재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다는 말이다. 문화예술 쪽도 여전히 쓰레기투성이다. 가까운 예로 ‘미술’이라는 낱말도 일본 사람들이 급조해 낸 용어다. 지금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한국어 중 한문 투 낱말의 70-80%가일본강점기에 만들어진 것인데, 그저 우리말인 줄로 알고 사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게 무슨 문제냐, 그래도 나라가 잘만 돌아간다, 일본을 넘어선 지 벌써 오래다…. 이런 식으로 눙치고 넘어갈 일이 결코 아니다. 나의 주체성을 바로 세우지 않고는 우리 문화 예술이 세계로 뻗어 나갈 수 없다. 내가 없는 한류는 일시적인 물거품으로 끝나기 쉽다. 장소현 / 시인·극작가문화산책 민화 낱말 민화가 인기인 한국 민화 민화가 중심적

2024-08-15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